
For All Creators
특집 기사
POD출판 개인출판 견적 고급출판 교보문고POD 글쓰기 김인식 나홀로 출판 독립출판 디자인 베스트셀러 북토크 상담후기 소량출판 신간 원고 자비출판 자주묻는질문 작가인터뷰 작가후기 전자책 전자책출판 전자책편집 주문형종이책 추천도서 출간기획서 출판 출판절차 칼럼 페스트북 편집장 편집후기 표지디자인 프로출판 프로패키지 후기
최신 글
-
어떤 출판 패키지가 좋을까요? (프로 vs 마스터)
프로 패키지와 마스터 패키지 상세 비교 작품을 규격화된 틀에 맞춰 간소하게 출판하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베이직 패키지나 플러스 패키지가 딱입니다. 하지만 작품에 대한 기대가 높고 더 많은 정성을 입히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프리미엄 패키지를 추천드립니다. …
-
단감, 가을, “가볍게 살아도 나쁠 건 없더라”
안녕하세요, 페스트북의 쭈-에디터입니다. 불과 몇일전까지, 11월에는 상상도 못할 포근한 날씨들이 계속 이어지면서 올해는 다른 해보다 조금 더 깊고 긴 가을을 만끽할 수 있었습니다. 바알갛게 물들어가는 단풍잎을 시샘하듯 더 노오랗게 익어가는 은행잎들을 시야에 한…
-
페스트북이 교보문고 홈페이지 첫화면을 장식하다 – 박성원 작가의 신간
박성원 작가의 신작 “불편한 나의 프랑스 시어머니”가 교보문고 홈페이지의 첫화면을 장식했습니다. 차별화된 기획, 이를 구현한 디자인 그리고 제목과 마케팅 문구까지. 이 모든 것이 조화롭게 하나가 되었을 때에 누가 봐도 멋진 책이 탄생하게 됩니다.…
-
페스트북 에디터로 합류하기 / 채용
페스트북 10대 가치 Festbook Value / 작가를 위해 크리에이터들이 모인 조직 페스트북의 에디터들은 작가입니다. 한 사람 당 평균 3권의 책을 출판했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글을 쓰고 있으며, 평생 글을 쓸 각오를 가진 사람들입니다. 다른 일도…
-
정효준 작가 북토크 후기 (북토크 절차와 방법 모범사례)
지난 주 8월 24일, 영풍문고 종로본점에서 정효준 작가의 북토크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작가가 되길 꿈꿉니다. 그리고 작가가 되고 나면 한 번쯤은 독자와 책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기를 꿈꾸죠. 정효준 작가의…
-
페스트북 2023 대한민국 소비자만족도 1위 선정 (중앙일보 후원)
-
라원기 작가의 ‘한 번뿐인 인생 : 당신이 자살하지 말아야 할 7가지 이유’ 교보문고 POD 부문 베스트셀러에 올라
라원기 작가의 저서 ‘한 번뿐인 인생 : 당신이 자살하지 말아야 할 7가지 이유’가 교보문고 POD 부문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한 번뿐인 인생 : 당신이 자살하지 말아야 할 7가지 이유’는 수많은 고통에도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
김언정 작가의 ‘우리가 이렇게 살 줄이야’ 교보문고 POD 에세이 부문 베스트셀러 올라
페스트북은 김언정 작가의 에세이 ‘우리가 이렇게 살 줄이야’가 7월 교보문고 POD 에세이 부문 베스트셀러에 올랐다고 밝혔다. 이 책은 자폐성 장애가 있는 아들을 키우면서 겪는 고난과 눈물, 변화, 소망의 이야기를 담았다. 장애를 다룬 에세이들…
작가 스토리, 인터뷰
-
출판 문의에 올라온 날 선 문의
페스트북에서는 하루에 수십 건의 출판 문의를 받습니다. 아주 사려 깊고 꼼꼼한 출판 문의가 있는 반면, ‘그래서 얼마예요’와 같은 묻지마식 문의, 신세 한탄이 곁들여진 인생 상담 문의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그리고 때로는 날 선 문의도 있습니다.…
-
에디터가 직접 들려주는 김인식 작가님 ‘누구나 한 번씩은 실패해요’ 디자인 후기
안녕하세요. 김인식 작가님의 에세이 ‘누구나 한 번씩은 실패해요’ 표지와 내지를 디자인한 신건희 에디터입니다. 의뢰를 받을 때마다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작가님 한분 한분마다 다른 작품이 나오기에 방향성을 잃지 않기 위해서…
에디터 편지
-
단도직입! 효과적으로 문의하는 방법
이렇게 문의하시면 원하는 정보를 얻기까지 2-3차례 이메일을 주고 받습니다. (작가님께서 불필요한 시간을 기다리게 됩니다) “출판에 관심 있습니다. 비용과 절차가 궁금합니다.” “원고가 있습니다. 종이책과 전자책을 출판하고 싶습니다.” “안내 부탁드립니다.” 반면에 이렇게 문의하시면 원하는 정보를 한번에 드리고 작가님께서 바로 진행 여부를 판단하실 수 있어요. “제 블로그 주소는 OO입니다. 이 블로그로 에세이를 출판하고 싶어요. POD 프로패키지로 할…
-
작가와의 관계에 대한 페스트북의 생각
페스트북 에디터들의 책상 앞에는 종이가 한 장씩 붙어 있습니다. 종이에는 군더더기 없는 10개의 목록이 인쇄되어 있습니다. 페스트북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또 앞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정리한 성명서입니다. 이 10개의 가치는 다른 사람한테 보여주려고 만든 게 아닙니다. 우리가 누구인지를 잊지 말자는 뜻에서 모든 구성원이 합의한 약속입니다. 성명서를 이렇게 활용할 날이 오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페스트북이 누구인지…
-
요즘 트렌드 어떻게 확인하지? 구독하면 좋은 Newsletter 추천
트렌드를 알자! 구독하면 좋은 Newsletter 추천 트렌드가 싫을 수 있다. ‘트렌드’라는 말만 들어도 몸서리가 쳐질 수 있다. 그래도 온 세상 사람들이 오징어 게임을 말할 때, 말린 오징어처럼 가만히 앉아만 있기 어색하다면 트렌드를 알아야한다! 무인도에서 혼자 코코넛 따먹고 물고기 잡아먹을 게 아니라면 어쩔 수 없다. NFT라는 게 나와서 디지털 콘텐츠를 거래한다는데…운운 트렌드와 친해지기 위해, 구독하면 좋을 Newsletter들이다. 1) 뉴닉 https://newneek.co 여러 뉴스레터 중, 가장 구독자 수가 많다. (21.11월 기준 39만명) 두 명의…
-
앙리 루소로 살펴본 “아무나 글을 써도 되는 이유”
합평반 사람들은 합평하는 날을 이렇게 부르기도 했습니다. 합평은 소설 하나를 놓고 여러 명이서 평가하는 자리입니다. 평가가 좋았던 적이 거의 없었어요. ‘기본이 안 되어 있다’느니 ‘작가의 감상을 읽고 싶어 하는 사람이 누가 있냐’느니 하는 말들이 오갔습니다. ‘이미 세상에 좋은 글을 쓰는 작가가 많은데 내가 꼭 글을, 소설을 써야 하는지 모르겠어.’ 소설을 써온 누나가 합평이 끝나고…
유용한 출판 정보
-
보호된 글: 나홀로 출판 19 – 누구나 할수있는 마케팅 소셜미디어/인플루언서 마케팅, SEO, 서평단, 서점 댓글
보호 글이라서 요약이 없습니다.
-
나홀로 출판 17 – 출판 인세 구조 및 수익 극대화 전략
기왕에 책을 출판할 거라면 작가의 의도에 가장 부합하는 방식을 택해야 할 것입니다. 그중에 주로 이야기 나오는 것은 인세와 독자입니다. 작가들에게 그밖에 다른 고려 요소가 더 있을까요? 더 많은 인세를 위한 팁 주문형종이책으로 돌아가 볼까요. 주문형종이책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
보호된 글: 나홀로 출판 20 – 전문적인 마케팅 구글애즈 – 디스플레이 광고 만드는 법
보호 글이라서 요약이 없습니다.
-
보호된 글: 나홀로 출판 6 – 밋밋한 본문에 매력을 더하는 간단한 방법
보호 글이라서 요약이 없습니다.
-
나홀로 출판 16 – 크몽, 숨고 – 내 전자책을 등록해야 할까요
크몽, 숨고, 탈잉, 오투잡, 프드프… PDF 문서를 파는 곳이 많이 늘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전자책이라기보다는 PDF 문서인데요. 내 전자책을 교보문고, 예스이십사, 리디북스에 등록할 때에 고민이 되실 겁니다. 크몽에도 등록해야 하는 거 아닐까? 사람들이 크몽에서 PDF 문서로 돈을 번다는데…? 전자책 크몽 등록 시…
-
나홀로 출판 15 – 전자책을 서점에 등록하는 방법
전자책을 서점에 유통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PDF 문서라고 부르는 것은 서점에 등록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다운받아서 읽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나 불법 유통의 시작이 되기도 합니다. 자신의 창작물에 대해 정당한 저작권을 행사하고 싶다면 서점에 등록한 후에 유통하길 권합니다. 서점의 DRM 암호화 기술을…
주식회사 페스트북 사업자번호 188-87-02712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1-안양동안-2021호 |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안양판교로 20 | 고객센터 이메일 creative@festbook.co.kr (24시간) | 상담 신청은 홈페이지 내 양식 제출을 통해 시작해주세요 | 전화상담은 원고, 출판방향 등에 대해 이메일로 1차 상담 후 필요 시에 진행합니다 | 서비스에 집중하기 위해 고객센터 창구를 이메일로 단일화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궁금한 점은 자주 묻는 질문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