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출판
-
“인스타그램으로 시집내고 베스트셀러 작가에 오르다” – 박병호 시인 인터뷰
시인박병호 4월의 어느 봄날, 박병호 시인을 비대면으로 만났다. 인스타그램에 꾸준히 시를 올려온 그는 어느덧 2천 명이 넘는 팔로워와 함께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하여>라는 시집을 발간하였다. 시집을 낸 이후 주변으로부터 “병호가 병호했다.”라는 말을 듣는다며 너털웃음을 터뜨리는 그에게 물었다. 시를 쓰면 어떤 점이 좋은 지. 시집을 내고 나서 달라진 점은 무엇인지. 지금부터 그이야기를 들어보자.…
-
<허드슨 강가의 끝과 끝> 27살에 미국으로 건너 간 이민 1세대, 우설 시인 인터뷰
시인 우설 27살, 어린 나이에 우설 시인은 미국으로 떠났다. 타향살이에서 위로가 되어준 것은 창작이었다. 그녀는 미국에서 어떻게 창작을 지속해왔을까? 힘든 점은 없었을까? 이야기가 궁금했고 그녀는 흔쾌히 인터뷰에 수락하였다. 시집 <허드슨 강가의 끝과 끝>을 출간한 후 그 어느 때보다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는 우설 작가를 비대면으로 만났다. 화면 속 너머에 자리한 그녀는 문학을 사랑하는, 누구보다도 순수함이…
-
나홀로 출판 16 – 크몽, 숨고 – 내 전자책을 등록해야 할까요
크몽, 숨고, 탈잉, 오투잡, 프드프… PDF 문서를 파는 곳이 많이 늘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전자책이라기보다는 PDF 문서인데요. 내 전자책을 교보문고, 예스이십사, 리디북스에 등록할 때에 고민이 되실 겁니다. 크몽에도 등록해야 하는 거 아닐까? 사람들이 크몽에서 PDF 문서로 돈을 번다는데…? 전자책 크몽 등록 시 장단점 교보문고에 등록한 전자책을 크몽에도 등록할 경우 생기는 장단점입니다. 우선은 짧게 요점만 적고 기회가…
-
나홀로 출판 15 – 전자책을 서점에 등록하는 방법
전자책을 서점에 유통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PDF 문서라고 부르는 것은 서점에 등록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다운받아서 읽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나 불법 유통의 시작이 되기도 합니다. 자신의 창작물에 대해 정당한 저작권을 행사하고 싶다면 서점에 등록한 후에 유통하길 권합니다. 서점의 DRM 암호화 기술을 통해 불법 복제와 불법 유통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서점은 교보문고, 예스이십사,…
-
나홀로 출판 14 – 서점에 종이책 등록하기 (주문형종이책 POD)
원고를 종이책 데이터로 만들었다면 이를 서점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다른 글 “한눈에 보는 출판 절차“를 통해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설명했으니, 이 목차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한눈에 보는 출판 절차 위의 절차 중 종이책 유통에 해당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원고는 물론, 본문과 표지의 디자인이 모두 완성되어 있어야 하겠지요. 자, 그럼 책을 어떻게 등록하게 되는지…
-
나홀로 출판 13 – 서점에 책을 등록할 때에 꼭 필요한 정보 – 간기면 서지정보
출판의 뜻은 “저작물을 일반 공중의 수요를 위하여 복제, 배포하는 것”입니다. 창작가들은 출판을 통해 자신의 창작물을 배포하고 그 대가로 수익을 얻습니다. 그런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이 바로 서점입니다. 서점에 책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정보가 있습니다. 더 이상의 정보는 필요 없습니다. 딱 이 정도면 됩니다. 기본적인 정보이기 떄문에 이중에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모두가 필요한…
-
나홀로 출판 1 – 기획 의도
원고가 있는 작가라면 누구나 책을 출판할 수 있습니다. 비용은 전혀 들지 않습니다. 다만 훌륭한 책을 출판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디자인이나 매력적인 콘셉트 잡기, 그리고 출판 후 마케팅 등입니다. 그런 부분을 도와드리는 것이 페스트북의 존재 이유입니다. 그러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출판’이라는 형식적 장애물을 건널 수 있습니다. 어떤 책을 출판할 것인가는 오롯이…
-
나홀로 출판 18 – 팔리는 책은 기획단계에서 결정된다 : 출간기획서 쓰는 법 (2)
지난 시간, 출간기획서 쓰는 법(카테고리 및 콘셉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나머지 항목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내용 미리보기 타깃독자 타깃독자는 한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우리가 책을 쓰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독자의 어떤 문제를 해결해주기 위함입니다. 독자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그렇습니다. 독자는 감수성을 느끼고 싶을 때 문학을 읽고, 특정 정보를 원할 때 실용서를 읽습니다. 단순히 지루해서 책을 읽는다 해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