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왕에 책을 출판할 거라면 작가의 의도에 가장 부합하는 방식을 택해야 할 것입니다. 그중에 주로 이야기 나오는 것은 인세와 독자입니다. 작가들에게 그밖에 다른 고려 요소가 더 있을까요?
- 같은 노력으로 더 많은 인세를 얻을 것
- 한번에 더 많은 독자를 만나는 것
더 많은 인세를 위한 팁
주문형종이책으로 돌아가 볼까요. 주문형종이책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제작비가 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책값에 제작비가 포함되어 있지요.
단점도 있습니다. 제작비를 빼고 나서 인세를 계산한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인세가 낮습니다.
주문형 종이책의 인세구조
주문형 종이책 책값이 10,000원이라면, 교보문고에서 출판사에게 정산해주는 돈이 2,000원입니다. (부크크는 더 낮습니다). 공제한 8,000원에는 교보문고에서 책을 제작하고 독자에게 배송한 비용과 자체 수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출판사에서 필요 경비를 공제하고 나면 작가님께는 1,600원 정도의 인세가 입금됩니다. 10,000원짜리 책에서 1,600원이라… 판단이 잘 안 서시죠.
전자책과 비교해 보면 차이가 드러납니다.
전자책의 인세구조
전자책 책값이 10,000원이라면, 교보문고에서 출판사에게 정산해주는 돈이 7,000원입니다. (공공기관에 납품하는 B2B로 판매되면 5,000원입니다.) 출판사에서 필요 경비를 공제하고 작가님께 5,600원의 인세를 입금합니다.
똑같이 10,000원짜리 책이었지만 인세 차이가 꽤 납니다. 주문형 종이책은 1,600원, 전자책은 5,600원. 아시겠지만 가장 큰 차이는 제작비입니다. 주문형종이책은 작가님께 돌아갈 인세에서 책 제작비만큼이 줄어든 셈이지요.
이렇게 하세요 – 최적화된 출판 방식 제안
주문형 종이책의 장점은 큰 비용 없이 환경친화적인 종이책을 출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종이책은 독자와 작가 모두에게 아직은 ‘특별한 그 무엇’으로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독자 중에는 페이지를 넘겨야 책을 읽는 것 같다는 분도 많이 계시니까요. 또한 작가 입장에서도 우정을 나누기엔 종이책이 감사 선물로 좋습니다. 자신의 삶을 증거하기 위해 책장 한 켠에 내 이름으로 된 책이 꽂혀 있는 것은 아주 특별한 의미를 갖지요. 그래서 종이책을 포기하기엔 좀 아쉽습니다.
페스트북에서 수백 명의 작가를 상담하면서 느낀 최적화된 출판 방식은 이것입니다.
- 종이책은 주문형 종이책으로 가볍게 출판하고 영향력을 확대하는 용도로 활용 (퍼스널브랜드)
- 실제 홍보는 전자책으로 진행하고 인세를 확보 (판매수익과 다음 집필을 위한 재투자비용 확보)
이건 피하세요 – 자주하는 실수
- 500부 이상 인쇄하지 마세요. 소량 출판 후 시장 반응에 따라 얼마든지 중쇄할 수 있어요.
- 밀리의 서재, 교보문고 sam 같은 대여 플렛폼을 꺼리지 마세요. “내 책을 공짜로 대여하면 가치가 낮아지지 않을까?” 아니에요. 노출을 극대화해서 입소문을 만들기 좋고, 대영에 따른 수익이 때로는 판매보다 높은 작품도 많습니다.
- 인세 1%에 목숨 걸지 마세요. 인세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작가 중심적인 파트너십인가, 내 책이 더 널리 알려질 수 있는가입니다. 2023년의 작가들은 책인세보다는 책을 통한 강연, 코칭에서 더 큰 수익을 노리는 트렌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