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형식의 중요성
초고를 쓰고, 퇴고를 거치고 나면 이제 내지 원고를 본문 레이아웃에 얹어야 합니다. 공들여 쓴 원고가 독자에게 읽히기 위해서는 깔끔하고 가독성 좋은 레이아웃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글에 무슨 디자인이 필요하냐고 반문하실 수도 있습니다. 표지가 책의 인상을 좌우하는 건 맞지만 결국 독자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은 내지입니다. 아무리 좋은 글이어도 형식적으로 읽기가 어려우면 선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상품성 있는, 좋은 본문 디자인을 할 수 있을까요?
알아볼 것
- 좋은 본문 디자인의 요건
- 가독성
- 적절한 여백
- 콘셉트에 맞는 본문 디자인
- 자신만의 디자인 포인트
- 좋은 디자인 레퍼런스
알아보지 않을 것
- 어도비 인디자인을 이용해 디자인 하기 (추후 별도 강의를 통해 안내 예정)
내용 미리보기
- 좋은 본문 디자인의 요건
- 가독성 높이는 방법
- 적절한 여백 주는 방법
- 콘셉트에 맞는 본문 디자인 하기
- 자신만의 디자인 포인트 넣기
- 좋은 디자인 레퍼런스 찾는 방법
2. 본론
가독성
- 본문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건 가독성입니다.
- 글자의 가독성을 좌우하는 건 폰트, 크기, 색상, 간격입니다.
-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읽기 쉬운 폰트를 이용해야 합니다. 본문에는 명조체나 고딕체를 사용합니다.


- 읽기 쉬운 크기로 폰트를 조절합니다. 본문의 경우 적어도 10pt 이상으로 설정합니다.


- 폰트 색상은 검은색을 사용합니다. 폰트에 칼라를 넣는 경우 잘 보일 수 있는 선명한 색을 사용합니다.


- 적절한 자간과 행간을 줍니다. 자간은 0, 행간(줄 간격)은 1.5pt이상을 부여합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1.6pt로 지정합니다.



여백
- 본문이 너무 답답해보이지 않으려면 적절한 여백을 주어야 합니다.
- 안쪽 여백을 주지 않으면 자칫 제작 과정에서 잘려나갈 수 있습니다.
- 본문 레이아웃 상하좌우를 기준으로 적어도 2.5cm 이상의 여백을 줘야 합니다. 워드 프로세서의 기본 여백인 2.54cm를 적용합니다.



콘셉트에 맞는 본문 디자인 하기
- 표지 및 본문 내지 디자인을 하기 전 기획 단계에서 콘셉트를 확정하게 됩니다.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위해서는 콘셉트를 항상 염두에 두고 작업에 들어가야 합니다.
- 콘셉트는 전체적인 색상, 디자인 요소, 심지어 내용에도 영향을 줍니다.




자신만의 디자인 포인트 더하기
- 자신만의 디자인 포인트를 적용해보는 것도 좋은 시도입니다. 디자인 변화 없이 텍스트만 계속 나오면 독자는 금방 피로를 느낍니다. 또한 적절한 여백을 주면 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장을 구분하는 지점마다 챕터 삽지를 넣어 호흡을 끊고 잠시 쉬어갈 수 있게 합니다. 독자에게 어느 지점까지 읽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 챕터 말미에 별도의 요약 페이지를 넣어 앞선 내용을 정리하고 다음 챕터로 넘어간다는 점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혹은 특정 내용이나 문장을 짧게 반복하여 넣어줄 수 있습니다.

- 표지에 쓰인 색상이나 요소를 활용하면 일관성과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해 얼마든지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글자 역시 하나의 디자인 요소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좋은 레퍼런스 참고하기
- 가장 좋은 레퍼런스는 시중에 나와있는 책입니다. 어느정도 시장성이 검증된 디자인이기 때문입니다.
- 본문에 포인트를 주거나, 밋밋함을 덜어내고 싶을 때 참고하면 의외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그 외에도 핀터레스트 같은 디자인 사이트나 검색으로 좋은 자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